날글 : 자유로운 글쓰기
article thumbnail
국어 '구'와 '절'! 구절을 구분해 봅시다.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서 하나의 문장 성분을 이룬 것. 구는 자체 내에서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절이나 문장이 주어, 서술어를 갖고 있는 것과 대비되는 성질이다.출처 Basic 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 구 여기서 어절이란 띄어쓰기의 단위입니다. 이 띄어쓰기의 기준은 '2014/03/04 - [국문법] 문장 성분 7가지와 어순에 대하여'에서 다룬 7가지 문성 성분에 따라 띄어 씁니다. 그런데 가끔 보면 띄어쓰기가 없는 하나의 어절인데 '구'로 구분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조사를 단어로 보아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였을 때에 해당 되어 '구'로 보는 것입니다. 또한 복합어를 하나의 단어로 볼 것인지 그 이상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 '구'가 되기도..

article thumbnail
[국문법] 문장성분 7가지와 어순에 대하여

주성분 주어 어떤 상태나 행위에 주체가 되는 성분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 등을 설명 목적어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의 대상이 되는 존재를 가리키는 언어 요소 보어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불완전할 경우, 서술이 완결되도록 보충하는 성분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 앞에서 체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문장성분 부사어 용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문장성분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홀로 쓰이는 문장성분 1. 주성분 -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문장 주성분을 가지고 만들 수 있는 기본형태는 세가지입니다. 주어+서술어주어+목적어+서술어주어+보어+서술어 주어와 서술어는 반드시 들어가는 성분입니다. 목적어와 보어는 이 것을 필요로하는 서술어와 함께 쓰여집니다.(반드시 보어를..

article thumbnail
[수사법 공부] 변화법의 종류 - 설의법, 도치법, 돈호법, 대구법, 역설법

변화법 – 단조로움을 피하고 문장에 생기 있는 변화를 주고자 할 때 쓰이는 방법 설의법 질문의 형식을 가지지만 대답을 전제로 하지 않는 질문이다. 주로 설득이 목적일 때 사용한다. 예) 이 또한 얼마나 아름다운가,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이러는 네가 인간이냐? 도치법 일반적인 문장의 어순을 바꾸어 신선함 또는 강한 인상을 주는 기법 예) 열렸다. 너를 향한 문이 / 기다리다 지쳤다. 나를 바라보지 않는 너에게 / 마시자 술을. 불타는 금요일에 돈호법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불러 주의를 새롭게 환기시키는 기법 예) 님이여 / 신이시여 / 청산아 대구법 앞 문장과 뒷 문장이 서로 짝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표현 기법 예)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 예술은 짧고, 인생..

article thumbnail
[수사법 공부] 강조법의 종류 - 과장법, 반복법, 점층법, 점강법

강조법 –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뚜렷하게 만들어 읽는 이에게 짙은 인상을 남기고자 할 때 쓰이는 방법 과장법 사실보다 훨씬 크게 또는 작게 표현하는 기법 예) 남산만한 임산부의 배, 입이 귀에 걸렸다, 뱃가죽이 등에 붙었다 반복법 비슷하거나 같은 낱말을 반복하여 의미를 강조하는 기법 예) 그리워 그리워, 옛날 옛적에, 가슴이 아프고 아파서 점층법 비슷하거나 같은 낱말을 점점 강화하며 반복하는 기법 예) / 눈은 살아있다. 떨어진 눈은 살아있다. 마당에 떨어진 눈은 살아있다 / 아파. 팔, 다리, 어깨, 무릎할 것 없이 다 아파 2014/02/25 - [수사법 공부] 비유법의 종류 - 직유법, 은유법, 활유법, 의성법,의태법, 제유법, 환유법 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강조법에 대해 정리해 봣습니다. ..

article thumbnail
[수사법 공부] 비유법의 종류 - 직유법, 은유법, 활유법, 의성법,의태법, 제유법, 환유법

비유법 -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직유법 ~처럼, ~같이, ~듯이, ~인 양 등의 조사를 붙여서 글을 꾸미는 방법, 대표속성이 유사해야 문장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 예) 파뿌리같이 늙은 할머니, 새순 같은 (아이의) 손, 닭장 같은 아파트 은유법 조사 없이 (A는 B이다) 또는 (A는 B의 C이다)라고 단언하듯 표현하는 방법, 표면적 유사성이 아닌 내면적 동일성이 중요하다. 예) 내 마음은 호수, 책은 마음의 양식,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동반자 의인법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기법 예) 노래하는 꾀꼬리, 내 귀를 간지럽히는 목소리, 미소 짓는 해님 활유법 무생물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기법 예)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 가을빛과 함께 길거리에서 서서 의성법 자연계의..

article thumbnail
사이시옷 안 틀리는 법! 초점? 촛점? 나무가지? 나뭇가지

1. 두 가지 이상의 단어가 합쳐졌을 때, 된소리(ㅉ,ㅃ,ㄲ,ㄸ,ㅆ)가 나거나 'ㄴ'소리가 더해질 때 사이시옷을 넣는다.2. 단 합성어(합쳐진 단어)에 고유어(순우리말)이 있어야 한다.3. 한자어+한자어의 복합어 중 곳간(庫間) · 셋방(貰房) · 숫자(數字) · 찻간(車間) · 툇간(退間) · 횟수(回數)은 예외로 한다. 하여튼 혼란스러운 규정입니다. 제가 한자를 몰라서 초점이랑 촛점을 항상 헷갈렸습니다. '점'이 우리 고유어 같아서 촛점이 맞는 것 같지만 '점'도 한문이기 때문에 '초점'으로 쓰는 게 맞습니다. 오늘 글을 쓰다가 무심코 나무가지라고 썼는데, 뭔가 이상해서 검색해보니 나뭇가지가 맞더군요. 나무와 가지가 고유어고 실제 발음이 [나무까지]로 된소리가 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어야 합니다. ..